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산업재해를 입은 근로자가 기존 직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 

    고용노동부와 근로복지공단이 사업주를 지원합니다.
    장해등급 1~12급에 해당하는 산재근로자의

    고용유지 및 직장적응훈련, 재활운동에 대해 지원금이 지급됩니다.
    사업주는 요건 충족 시 최대 12개월간 복귀지원금과 함께

    실비훈련비·운동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산재근로자 원직장 복귀지원금
    산재근로자 원직장 복귀지원금

     

     

    산재근로자 원직장 복귀지원이란?

     

    산재근로자 원직장 복귀지원사업

    산업재해로 장해를 입은 근로자가 고용단절 없이 기존 직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,

    고용을 유지한 사업주에게 현금으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    고용노동부 산재보상정책과에서 주관하고, 근로복지공단이 운영합니다.

    이 제도는 사업주가 부담 없이 근로자를 다시 고용하고, 장해 근로자의 사회복귀를 돕기 위한 목적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지원대상 및 선정요건

     

    지원 대상은 산재 장해등급 1급~12급에 해당하거나 그에 준하는 의학적 소견이 있는 근로자를

    기존 사업장에 복귀시킨 사업주입니다.

     

    구분 요건
    대상 근로자 산재 장해등급 1급~12급 해당자 또는 그에 준하는 자
    고용 조건 고용단절 없이 복귀 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
   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주 고용률 초과 시에만 인정

    단, 복귀 시점 기준으로 요양이 완료되었거나 요양 중이라도 복귀 가능 의학적 소견이 있어야 합니다.

     

    지원금 종류 및 금액


    지원항목 지원기간 지원금액 조건
    직장복귀지원금


    최대 12개월간
    지급
    • 1~3급: 월 80만 원
    장애등급별 차등적용


    • 4~9급: 월 60만 원
    • 10~12급: 월 45만 원
    직장적응훈련비 최대 3개월간
    실비 지급
    월 45만원 복귀 전후 3개월~6개월 이내 훈련 시작,
    이후 6개월 고용 유지
    재활운동비 최대 3개월간
    실비 지급
    월 15만원 복귀일 이후 6개월 이내 시작,
    이후 6개월 고용 유지
    훈련비 및 운동비는 사업주 실비 기준으로 지급되며, 훈련기관 대체도 가능합니다.
     
     

    신청 방법 및 접수 절차

     

    항목 내용
    신청 방법 서면 접수: 근로복지공단 지사 방문 또는 우편 제출
    온라인 접수: 근로복지공단 e고객센터 (www.comwel.or.kr)
    문의  공단 지역본부(지사) 재활보상부
    필수 서류 - 직장복귀지원금 청구서
    - 고용유지기간에 해당하는 임금대장 사본 등 고용 유지 증빙자료
    - 훈련 또는 운동 수행 관련 자료
    - 장해등급 판정 결과 등

     

    : 신청은 산재장해인이 원직장에 복귀한 날부터 1개월이 지난 후에 청구 해야 하므로

      반드시 기한을 확인하세요.

     

    : 산재장해인의 고용을 유지한 사업 또는 사업장이나 그 본사 소재지를 관할하는 소속기관으로 청구

      (방문접수, 우편접수, 인터넷신청)

     

    유의사항 및 꿀팁

     

    • 훈련기관이 아닌 사업장 내 훈련도 인정되며, 이를 통해 자율적으로 근로자 재적응 가능
    • 복귀 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해야만 모든 항목이 인정됨
    • 고용단절 없는 복귀만 인정되므로, 이직 후 복귀한 경우 해당 없음

    또한,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장의 경우에는

    의무고용률을 초과한 인원만 인정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